저번시간엔 조장을 위한 Git세팅을 같이 해봤는데요, 이번엔 조원들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한 초기 설정입니다.
일단 gitbash를 켜서(WorkSpace폴더에서 열어주도록 합시다.)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준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깃허브 이름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깃허브 이메일"
후에 git config --list 명령어를 통해 위 명령어가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본다.
git clone (Repository주소) 명령어를 활용하여 Repository의 소스들을 긁어옵시다.
(복사 후 gitbash에 붙여넣기 할 때 Shift + Insert 단축키를 활용하면 됩니다.
git branch -M main 으로 Branch명을 master에서 main으로 바꿔줍니다.(인종차별로 인해 main으로 바꾸는 추세라더군요...)
이클립스에서 열어봤을 때 처음에는 프로젝트가 뜨지않습니다. 프로젝트를 import해주세용
Project Explorer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- import - 맨아래 import,,,, - General - Exiting뭐시기 클릭 후 프로젝트 폴더 선택해주면 끝!
추후 사용할 패키지와 클래스를 임의로 생성한 뒤 commit push를 해보도록하죠!
GitBash를 프로젝트 폴더에서 열어서 진행하겠습니다.
git status로 현재 변경사항을 확인해봅시다.
git add . 명령어로 모든 변경 사항을 추가한 뒤 git status로 다시 한 번 확인해보면
git commit -m "남기고 싶은 메시지" 명령어를 통해 로컬 Repository에 제출합시다.
마지막으로 git push -u origin main 명령어를 이용하여 GitHub Repository에 반영을 해봅시다.
이제 GitHub에 들어가서 잘 올라갔는지 확인해봅시다.
근데 이런식으로 하게 되면 서로 작업하는게 달라서 pull하고 push할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:)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 / GitBash] 깃 협업 시작하기 (0) | 2022.05.22 |
---|